웰라이프
커피보다 오래된 '녹색 가루'가 MZ세대 사로잡은 이유...

말차는 녹차잎을 말린 후 가루로 만든 차를 의미한다. 엄밀히 말하면 녹차는 햇빛을 받고 재배한 찻잎을, 말차는 햇빛을 가리는 차광 재배로 기른 찻잎을 사용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단순히 잎을 우리는 차는 녹차, 가루를 물에 타 마시는 차는 말차로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흥미로운 점은 말차의 역사가 녹차보다 더 오래되었다는 사실이다. 말차는 중국 당나라 시대부터 존재했던 반면, 잎을 우려 마시는 녹차(엽차)는 명나라 때 등장했다. 수백 년의 차이가 나는 셈이다.
국내 차 소비량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1인당 연간 차 소비량은 91g(약 40~50잔)으로, 커피 소비량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반면 일본과 중국은 800~1300g(200~300잔 이상)을 소비해 우리가 커피를 마시는 만큼 그들은 차를 마신다.
그런데 최근 글로벌 트렌드와 함께 국내에서도 말차 열풍이 불고 있다. 블랙핑크 제니를 비롯해 미국의 팝스타 두아 리파, 배우 젠다야 등 글로벌 셀러브리티들이 SNS에 말차 음료를 마시는 모습을 공유하면서 말차는 '힙'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트렌드는 일본 수출 통계에서도 확인된다. 일본 농림수산성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의 녹차 수출량 약 8798톤 중 절반 이상이 말차였다. 2014년 20% 안팎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국내 주요 식음료 브랜드들도 말차 열풍에 동참하고 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제주 말차를 활용한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고 있으며, 롯데웰푸드는 월드콘과 빼빼로 말차맛을, 오리온은 초코파이 말차 쇼콜라 한정판을 출시했다. 유명 베이커리와 카페에서도 말차 메뉴를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업계에서는 말차 열풍의 원인으로 몇 가지 요소를 꼽는다. 첫째, 새로운 맛을 찾던 젊은 층이 말차를 발견했다는 점이다. 둘째, 말차는 파우더 타입이라 다른 음료나 디저트와 조합하기 좋아 '나만의 레시피'를 만들기 적합하다. 셋째, '차'라는 특성상 커피보다 건강에 좋다는 인식이 있어 웰빙 트렌드와 맞닿아 있다. 마지막으로, 말차 특유의 선명한 초록색은 SNS에 공유하기 좋은 '인스타그래머블'한 비주얼을 제공한다.
말차의 인기는 차 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녹차의 은은한 풍미, 홍차의 고급스러움 등 차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다. 말차 트렌드를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차의 다양한 매력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72억 기부한 미녀 스님, 정체 알고보니..충격!
- 도박빚 10억 여배우K양 '이것'후 돈벼락 맞아..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로또용지 찢지마세요. 97%이상이 모르는 비밀! "뒷면 비추면 번호 보인다!?"
- 먹자마자 묵은변 콸콸! -7kg 똥뱃살 쫙빠져!
- "한국로또 망했다" 관계자 실수로 이번주 971회차 번호 6자리 공개!? 꼭 확인해라!
- 서울 전매제한 없는 부동산 나왔다!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폐섬유화 환자 98% 공통된 습관 밝혀져…충격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서울 동작구" 집값 상승률 1위…이유는?
- 한의사 김오곤 "2주 -17kg 감량법" 화제!
- 10만원 있다면 오전 9시 주식장 열리면 "이종목" 바
- 120억 기부자 "150억 세금폭탄"에 울면서 한 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