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포스트
한국 배우만 빼고 다 한국식... 일본판 '내 남편과 결혼해줘' 제작 과정

넷플릭스 코리아는 최근 일본 시리즈 '아리스 인 보더랜드' 시즌3 공식 예고편을 공개했다. 이 작품은 이미 공개된 시즌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었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로, '오징어게임'과 유사한 데스게임 장르다. 극한의 생존 게임과 도덕적 딜레마, 지속적인 긴장감으로 시청자들을 사로잡는 작품이다.
국내 OTT 플랫폼 티빙도 이례적으로 일본 아마존 프라임에서 1위를 기록 중인 일본 드라마 '내 남편과 결혼해줘'를 방영하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지난해 한국에서 박민영 주연으로 큰 인기를 끌었던 동명 드라마의 일본판으로, 매주 두 편씩 공개될 예정이다.
특히 일본판 '내 남편과 결혼해줘'가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한 리메이크가 아니라, 제작부터 캐스팅, 현지화까지 전 과정에 한국 드라마 제작 방식이 적용됐기 때문이다. 원작은 한국 웹소설이고 제작진도 한국인으로 구성됐으며, 배우만 일본인이라는 독특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의 정서가 한국과 유사하고 통하는 부분이 많아 OTT 기업들에게 가성비 측면에서 일본이 매력적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OTT들의 일본 오리지널 콘텐츠 비중은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작비 차이는 상당히 크다. 한국 드라마는 회당 제작비가 20억원이 기본선이 된 반면, 일본은 10억원이면 충분한 수준의 작품을 만들 수 있다. '일본 TV드라마 제작비 현황'에 따르면,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의 경우 일본 주연 배우는 회당 1천만엔(약 9,300만원) 이상을 받기도 하지만, 한국 주연 배우들의 회당 출연료 3억~5억원과 비교하면 적게는 3~4배, 많게는 10배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작비 상승은 한국 드라마 제작 편수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2022년 141편이었던 한국 드라마 제작 편수는 2023년 123편으로 줄었고, 지난해에는 100여 편, 올해는 80여 편으로 더욱 감소할 전망이다.
OTT 기업들이 일본 콘텐츠에 집중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일본 시장의 잠재력 때문이기도 하다. 일본은 세계 3위의 콘텐츠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과 문화적 유사성이 높아 콘텐츠의 현지화가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결국 한국 드라마 제작비 급등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와 일본 콘텐츠의 가성비 우위가 맞물리면서, OTT 기업들은 일본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확대하는 전략적 선택을 하고 있다. 이는 한국 콘텐츠 산업에 위기감을 조성하는 동시에, K-콘텐츠의 제작 노하우와 일본의 가성비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아시아 콘텐츠 생태계가 형성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 로또용지 뒷면 확인하니 1등당첨 비밀열쇠 발견돼
- 비트코인'지고"이것"뜬다, '29억'벌어..충격!
- 빚더미에 삶을 포가히려던 50대 남성, 이것으로 인생역전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월3000만원 벌고 싶으면 "이 자격증"만 따면 된다.
- 인삼10배, 마늘300배 '이것'먹자마자 "그곳" 땅땅해져..헉!
- 인천 부평 집값 서울보다 비싸질것..이유는?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한의사 김오곤 "2주 -17kg 감량법" 화제!
- "빠진 치아" 더 이상 방치하지 마세요!!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부족한 머리숱,"두피문신"으로 채우세요! 글로웰의원 의)96837
- 로또1등' 수동 중복당첨자만 벌써 19명째 나왔다.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