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포스트

푸틴, 일방 사흘 휴전 선언..젤렌스키 '거짓 평화쇼 중단하라'

 러시아가 오는 5월 9일 전승절 80주년을 앞두고 일방적으로 일시 휴전을 선언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와 국제사회는 러시아의 진정성을 의심하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크렘린궁은 28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인도주의적 고려를 바탕으로 전승절 기간 동안 모든 군사행동을 금지하는 휴전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러시아의 휴전 결정을 강조하며 우크라이나에도 본보기로 삼을 것을 요구했으며, 휴전이 위반될 경우 ‘적절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경고했다.

 

이번 결정은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푸틴 대통령이 전승절을 명분으로 일방적인 일시 휴전을 선언한 첫 사례다. 러시아는 제2차 세계대전 승리를 기념하는 전승절을 매우 중시하는 만큼, 이번 휴전 선언은 국가적 자부심 고취와 함께 국제사회에 평화를 중시하는 이미지를 심으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그러나 이번 휴전 선언의 이면에는 다른 의도도 숨겨져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불만을 강하게 표출한 점이 배경으로 지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식 참석 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만난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푸틴은 민간 지역에 미사일을 쏠 이유가 없었다”며 러시아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은행’, ‘2차 제재’ 등을 언급하며 더 강력한 제재를 경고했다. 여기서 ‘2차 제재’란, 제재 대상과 거래하는 제3자까지 제재하는 강력한 조치로, 러시아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푸틴 대통령은 이번에도 미국의 압박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휴전 카드를 꺼내 들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그는 이달 중순에도 트럼프가 종전 중재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자 부활절을 명분 삼아 30시간 일방적 휴전을 선언한 바 있다. 전쟁을 완전히 멈출 의사는 없지만, 미국과의 협상 문을 완전히 닫지 않기 위해 임시 휴전을 반복하는 것이다.

 

하지만 부활절 당시에도 양측 간 교전이 계속되면서 실질적인 휴전 효과는 없었다. 이번 전승절 휴전 역시 실질적 효력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의도를 강하게 의심하고 있다. 안드리 예르마크 우크라이나 대통령 비서실장은 "러시아의 휴전 선언은 거짓말"이라며 "현재도 러시아는 샤헤드 드론을 동원해 우크라이나를 공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우크라이나 외무장관 안드리 시비하도 러시아가 진정으로 평화를 원한다면 즉시 휴전해야 한다며 "왜 5월 8일까지 기다려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우크라이나가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인 최소 30일간의 휴전을 지지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대해 미국 백악관도 입장을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살인과 유혈 사태를 중단하기 위해 영구적인 휴전을 원한다"고 밝혔다며 러시아의 일시 휴전에 대해 불신을 드러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또한 푸틴 대통령의 제안을 강하게 비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러시아는 모든 평화 제안을 거부하면서 미국과 전 세계를 속이려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푸틴이 자신의 퍼레이드를 조용히 치르기 위해 전쟁을 중단하는 것이라면, 이는 전 세계를 기만하는 것"이라며 "우크라이나는 인간 생명을 퍼레이드보다 더 소중히 여긴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휴전은 일시적이거나 보여주기식이 아니라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이며 완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러한 휴전이 지속성을 갖기 위해서는 최소 30일 이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단 며칠만 전투를 멈췄다가 다시 살인을 재개하는 방식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러시아는 이번 휴전을 5월 8일 밤 12시부터 11일 밤 12시까지 3일 동안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간 동안 러시아는 모스크바를 비롯해 전국 주요 도시에서 대규모 전승절 퍼레이드를 진행할 예정이다. 올해는 전승 80주년이라는 상징성도 크기 때문에 푸틴 정권은 내부 결속을 다지기 위해 더욱 행사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와 서방 국가들은 이번 일시 휴전이 러시아의 전쟁 지속 전략의 일환일 뿐이라고 보고 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는 지난 4월 미국이 제안한 30일간의 전면 휴전에 동의했지만, 러시아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대신 부활절이라는 상징적 명분으로 30시간 깜짝 휴전을 선언했을 뿐이다. 결국 러시아는 전면 휴전에는 여전히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면서, 국제사회로부터 전쟁 책임을 회피하려는 시도를 반복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와 국제사회의 요구는 명확하다. 보여주기식 일시 휴전이 아니라,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전면 휴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러시아가 여전히 조건 없는 전면 휴전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 전승절 휴전이 또 한 번 실효성 없는 이벤트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